서울에 가서 실시한 해외자원봉사 사전교육은 총 2박3일이었고 일정도 너무나 빡빡했습니다. 그래서 첫쨋날의 평화교육은 밤까지 계속되었습니다.

두번째 평화교육은 태국, 필리핀, 캄보디아 이 세팀이 모두 모여서 활동을 했습니다. 총 48명의 사람들이었는데 모두 앉아있으니 꽤 많아보였습니다.

어쨌든 세팀이 다 섞여서 모둠을 나눠 모둠마다 각각의 주제를 나눠주고 그 주제에 맞게 노래를 개사해서 모둠끼리 무대에 나와 노래를 부르는 활동을 했습니다.


저희 모둠의 주제는 '필리핀의 농부' 였습니다. 필리핀의 농부들은 땅의 소유자인 '지주' 와 농사를 해주는 '소작인' 으로 구분되어 계약관계를 맺습니다.

지주가 소작인에게 농사지을 땅을 빌려주고 소작인은 농사를 짓고나서 생긴 돈의 일부를 땅의 주인인 지주에게 지불해야합니다. 
 
생각해보면 땅이 많이 있는 지주들은 소작인들에게 땅만 빌려주고 일도 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그런 지주와 소작인의 관계가 너무나도 불평등해보입니다.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고 부유한 사람은 더 부유해지는 빈부격차가 계속 심해질 것이며, 소작인들은 열심히 일을 해도 지주에게 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일에 대한 의지도 사라질 것 입니다.

그렇게 되면 소작인들의 노동력이 점점 하락하게되고, 농업이 발달하지 못하여 사회적인 문제까지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런 문제를 없애기 위해 우리 모둠은 제도를 개선하고 지주와 소작인의 관계자체를 해결해야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런 내용을 바탕으로 노래도 한 곡 만들었는데 소작인이 돈을 주지 않은 지주에게 돈을 요구하는 내용의 노래입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해도 우리 모둠은 너무 못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노래를 만드는 과정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노래를 개사해보면서 필리핀 농부의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던 것 같고, 그 문제의 심각성을 노래를 통해 한 번더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솔직히 다른 모둠들은 노래를 다 잘 만들고, 잘 불렀지만 노래의 가사가 사실상 귀에 잘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른 모둠들도 노래를 만들면서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렇게 또 평화교육을 한 개 마치고 잠깐의 휴식시간이 있었습니다. 짧은 휴식시간임에도 우리 태국팀은 절대 쉬지 않고 계속해서 완성되지 않은 깃발을 만들었습니다.

쉬는시간이 있을 때마다 우리 태국팀은 모두 한자리에 모여 깃발만드는 것을 서로 도와가며 했고 단 한사람도 불만있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심지어는 여자 단원들은 숙소에 깃발을 들고가서 만들기까지 했습니다.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히 계속 깃발을 만드는 우리 태국팀은 그럴수록 계속 친해지는 것 같았습니다.

우리 '러닝타이' 팀의 멤버들 모두 처음에는 다 서먹서먹했어지만 다양한 활동을 같이 하고 깃발도 쉬는시간마다 계속 만들면서 서로에 대해 더 알게되는 시간이 많이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저는 바느질을 할 줄 몰라서 깃발만드는 일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태국팀이 협동해서 깃발 만드는 모습은 참으로 보기 좋았습니다.

태국에 가서도 깃발 만들 때의 협동심을 발휘해 더 많은 활동을 저 재밌고 알차게 해냈으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