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의 '불온한 시민의 독서토론회'에서 엄기호 교수가 쓴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라는 책으로 독서토론을 했습니다.

책은 굉장히 암울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우리가 사회에 살면서 쉬쉬하고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이슈들, 그 중에서도 가장 충격을 받았던 부분은 바로 '카이스트 자살 사건'입니다.

카이스트는 한국의 수많은 대학들 중에서도 클래스가 높고, 그만큼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지만 그렇게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이 있는 곳이라도 학생들의 성적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

카이스트 학생들 중에서도 학점을
3점 이상 받지 못하는 학생들은 등록금을 내야하는 패널티를 받습니다. 책에서는 그 제도를 '징벌적 등록금'이라고 표현하는데, 등록금을 내는 것이 학생의 성적으로 하여금 징벌처럼 되기 때문입니다.

고등학교 때 입시 제도에 '찌들려' 살면서 열심히 대학에 입학했음에도 대학에서조차 성적 관리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려야 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 고등학교 때와 도대체 무엇이 달라졌는가?", "대한민국 사람은 성적의 감옥에서 벗어날 수 없는가?" 이런 의문들이 끊임없이 쏟아집니다. 

우리는 마침내 우리가 '모욕감'을 전제로 하는 제도에 속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인간은 인간에게서 모욕감을 느낄 때 다른 인간으로부터 치유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징벌적 등록금이라는 '제도적(제도로 인한) 모욕감을 느낀다면 도대체 어디로부터 치유받아야 할까요? 

자신이 모욕감을 느끼고 상처를 받는다면 누군가에게 털어놓을 수 있어야 하는데, 제도적으로 모욕을 느낀다면 딱히 털어놓을 대상이 없습니다. 타인 또한 그 모욕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고, 타인이 공감을 느낄 수 없으며, 느끼려고 하지도 않기 때문이죠.

저도 중학교 때 교육 제도로 인해 모욕감을 느낀 경험이 있습니다. 성적 관리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던 저였고, 2학년 때 부반장을 하고 싶어 지원했는데, 성적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반장 선거에 나가지도 못했습니다. 

선생님들은 물론이고 친구들까지도 성적에 따라 사람을 차별하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성적이 나쁘면 다른 것도 못할 거라는 착각, ('일반화의 오류'라는 말이 이럴 때 쓰는 말이죠?) 저는 이런 서러움을 누군가에게 털어놓을 수 없습니다.

성적이 나쁘다는 것이 힘들다고 인정하는 순간, 저는 학교에서 소외될까 걱정했고, 지는 거라 생각했습니다. 결국 지는 것보다 견뎌내는 것을 선택했고, 나름대로 공부를 열심히 했지만, 남는 것은 없었습니다. 

성적을 올리면 올릴수록 다른 친구들의 질투를 받아야 했고, 성적의 클래스에 따라 친구관계도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제도적 모욕을 당한 것입니다. 제도가 우리의 인생을 비롯해 우리의 인간관계까지도 영향을 끼친 것입니다.

과연 우리 인생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학교의 성적관리?', '등록금을내지 않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것?' 아니면, 서로의 진심으로 공감해주는 진정한 친구를 찾는 것?'

책에서는 그런 친구를 만드는 과정을 동시대인을 찾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동시대인이란, 우리가 같은 시대의 아픔을 겪고 있음을 공유할 수 있는 관계를 말합니다.

우리가 카이스트에서 자살하는 학생들을 이해할 수 있다면 그들과 우리는 동시대인이고, 그들의 아픔을 똑같이 느낄 수 있고, 진심으로 위로하며, 그들과 함께 이겨낼 수 있다면 동시대인에서 '동료'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학교에서 국어 선생님과 함께 했던 '불온한 시민의 독서토론'은 서로의 상처를 공유하고 동시대인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었습니다.

우리가잘못산게아니었어이게사는건가싶을때힘이되는생각들
카테고리 인문 > 인문학일반
지은이 엄기호 (웅진지식하우스, 2011년)
상세보기
 

오늘은 독서토론을 다녀왔다. 오늘의 책은 저번 모임 때 내가 정한 책이었다. 그 책은 바로 '지킬박사와 하이드' 라는 책이었다.

그 책은 지킬박사의 이중인격에 대해서 보여주는 책이었다. 나는 그 책을 약 1년 전에 한 번 읽은 적이 있다. 그래서 내가 지킬박사와 하이드라는 책으로 주제를 정한 것이다.

내가 청소년문화의 집에 도착했을 때에는 독서동아리의 부원이 두 명밖에 없었다. 다른 부원들은 다들 조금씩 늦게 왔다. 그래서 오늘 토론은 30분정도 늦게 시작했다.

드디어 토론이 시작되었다. 각자 지킬박사와 하이드를 읽었는지 확인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런데 나만 빼고 모두 책을 읽어오지 않았다. 아이들이 시험기간이라서 책을 읽지 못했던 것이다. 그나마 나는 옛날에 한 번 책을 읽었기 때문에 괜찮았다.

선생님께서는 아이들에게 지킬박사와 하이드의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해 주라고 나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곧바로 설명을 시작했다.

하지만 나도 그 책을 읽은 지 꽤 오래 되어서 책의 내용이 가물가물했다. 그래서 설명을 잘 해주지 못했다. 나는 그게 무척 아쉬웠다.

이후 선생님께서는 지킬박사와 하이드 책의 뒷부분에 있는 줄거리 요약을 읽어주셨다. 아이들은 모두 내용을 아주 잘 이해했다.

물론 나도 예전에 읽었던 내용의 기억이 떠올랐다. 그리고 그렇게 줄거리를 모두 이해하고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토론을 했다.

선생님께서는 인간의 이중성에는 무엇이 있을까? 라고 질문을 하셨다. 아이들은 선뜻 대답을 하지못했다. 그래서 선생님께서는 "인간의 이중성에는 기본적으로 착한 것과 나쁜 것이 있겠지?" 라고 말씀을 하셨다.

그러자 아이들은 감을 잡고 인간의 이중성에 대하여 열심히 토론을 했다. 그렇게 토론이 끝나고 다음에는 언제 만날지 정하는 시간이 왔다.

우리는 크리스마스 바로 다음날인 12월 26일에 다시 만나기로 약속을 했다. 다음시간까지 읽어와야 하는 책은 다시 지킬박사와 하이드로 정했다. 아이들이 이번에 책을 많이 읽어오지 않았기 때문에 한 번더 읽어오기로 한 것이다.

그렇게 다음을 기약하고 있는데 미리 주문해놓은 피자배달이 왔다. 우리들은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으로 피자를 맛있게 먹었다.

나는 그 때 점심을 먹지않았기 때문에 피자는 더욱 맛있게 느껴졌다. 피자를 다 먹은 후 우리는 각자 집으로 돌아갔다. 오늘도 재미있는 토론이었다.
오늘 독서동아리에 갔다. 나는 친구와 집앞에서 만나서 친구의 자전거뒤에 타서 함께 '청소년 문화의 집' 으로 갔다.
 
우리 동아리는 책을 읽어와야 하는데 친구와 나 둘다 책을 읽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둘다 책을 주문했는데 아직 책이 안왔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나는 책을 주문한지 오래됬는데도 아직 책이 오지 않았다. 정말 귀신이 곡할 노릇이었다.

결국 나와 내 친구는 책을 읽지도 못하고 동아리 활동을 하게 되었다. 우리 동아리의 활동내용은 책을 읽고 그 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여 토론을 하는 것이였다. 하지만 나는 책을 읽지 않아서 조금 힘들었다.

우리가 읽어왔어야 하는 책은 바로 '왜 지구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라는 책으로 지구의 가난한 사람들이 주제였다.

나는 할 수 없이 그 주제에 대한 의견이라도 제시하여 토론을 하였다. 그리고 책의 제목인 "왜 지구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에 대한 대답도 하였다.
 
나의 대답은 가난한 사람이 생기는 것은 그 사람들이 일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자 아이들이 그에대한 반박을 하였다. '일을 하지 않는게 아니라, 일자리가 없는 거야.' 그 말을 듣고 나는 할말이 없었다. 왜냐하면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오늘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나는 '내 의견만이 진실이 아니구나' 라는 생각을 하였다. 앞으로 의견을 제시할 때는 생각을 잘하고 제시해야 겠다.

우리는 동아리 활동을 마치고 다음에 읽어올 책을 정하였다. 그 책은 바로 '완득이' 라는 책이었다. 읽은 사람들의 말로는 그 책이 엄청 웃긴 책이라고 하였다. 나도 왠지 그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다음에는 동아리의 아이들과 함께 영화를 한 편보고 토론을 하기로 했다.

그 다음에 다음에는 자신의 친구들중 한명씩 데려오기로 하였다. 왜냐하면 우리 동아리의 인원수가 너무 적기 때문이었다. 동아리의 아이들이 많아지면 아마 동아리 활동이 훨씬 더 재미있어 질 것이다.

+ Recent posts